IRP 계좌, 퇴직금만 넣는 건가요?


직장을 다니면서 언젠가 맞이할 퇴직. 그때를 위해 만들어진 게 바로 IRP(개인형 퇴직연금)이죠. 그런데 은근히 헷갈리는 질문, “이거 퇴직금만 넣는 거 아닌가요?”

실은요, 직접 돈을 넣을 수도 있고, 퇴직금 외에도 다양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꽤 유용한 통장이에요.



1. IRP는 ‘퇴직금 보관함’이 아니에요

IRP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는 남성의 모습

많은 분들이 IRP를 퇴직하면 잠시 넣어두는 통장쯤으로 생각하세요. 하지만 원래 IRP는 개인이 스스로 납입할 수도 있는 연금 계좌랍니다.

  • ✔ 회사가 퇴직연금을 IRP로 넣어주는 건 ‘퇴직 시’ 한 번뿐이에요
  • ✔ 근무 중에도 개인이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어요
  • ✔ 납입액에 따라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어요

즉, 퇴직하기 전에도 충분히 활용 가능한 계좌예요. 특히 연금저축과 IRP를 함께 쓰면 절세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2. IRP vs 연금저축, 뭐가 다를까요?

연금저축과 IRP를 비교하는 도식과 설명 중인 남성
  • 📌 연금저축: 개인만 가입 가능, 연 400만 원 한도 세액공제
  • 📌 IRP: 개인+퇴직 모두 가능,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 📌 두 계좌 합쳐 최대 1,150만 원 납입 가능 (세액공제 기준)

즉, IRP는 퇴직금 전용 계좌로 생각하면 아쉬워요. 내 돈을 직접 넣고, 혜택까지 챙기는 구조로 이해하면 좋아요.

3. IRP 활용 루틴, 이렇게 해보세요


IRP 활용 루틴을 정리한 인포그래픽과 그 내용을 확인하는 남성
  • 1️⃣ 연말정산 전에 미리 납입 스케줄 잡기
  • 2️⃣ 연금저축과 IRP 비율 조절해서 최대 세액공제 활용
  • 3️⃣ IRP 안에서도 ETF, 채권, 예금 등 상품 분산 가능
  • 4️⃣ 퇴직 시점에는 IRP로 자동 입금 → 노후 연금 전환 가능

💡 참고로 IRP는 중도 해지 시 불이익이 있어요. 가능하면 중도 인출 없이, 장기적으로 관리하는 게 좋아요.



💬 삶이의 한마디

퇴직금만 기다리는 IRP는 반쪽짜리예요. 일할 때부터 내 돈을 담고, 은퇴 뒤엔 연금으로 꺼내는 진짜 쓰임새를 누려보세요. 작은 납입이 미래의 큰 안심이 돼줄 거예요.